C++ 구조체의 이해, 필요성, 생성방법 정리
·
정리필요
구조체(Struct) 의 이해 구조체는 C/C++ 에서 사용자 정의 데이터 형식을 뜻함 서로 다른 타입(자료형)의 변수들을 한 그룹으로 묶는 방법을 제공함. 배열은 자료형이 같은 데이터의 집합인데 구조체는 자료형이 달라도 된다는 차이가 있음. 구조체의 개념과 필요성 구조체는 서로 관련이 있는 데이터를 하나로 묶은 데이터 형. ㄴ예를들어 학생의 이름, 나이, 성적 등을 담기 위해 사용. 만약 구조체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위의 항목들을 각각 변수에 담을텐데 번거로운 일일 수 있음. 프로그래밍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구조체를 사용. 구조체 생성 방법 struct 키워드 사용 아래 코드에서 "struct student" 는 구조체의 선언이며 구조체 내부에다 필요 항목들을 변수로 선언. struct studen..
C++ 2중 For문 사용해서 숫자 야구 게임 하기.
·
정리필요
숫자 야구 게임 숫자 생성(배열에 담기) 배열에 담은 0~9 숫자들은 추후 랜덤하게 세 개 뽑을 예정. for (int i = 0; i < 10; i++) { number[i] = i; } 숫자 섞기 (배열 섞기) For문과 임의로 만든 temp변수를 활용하여 배열 인덱스 순서를 섞는다. for (int i = 0; i < 1000; i++) { dest = rand() % 10; sour = rand() % 10; temp = number[dest]; number[dest] = number[sour]; number[sour] = temp; } 숫자 뽑기(Computer) 플레이어가 맞춰야 할 세 개의 숫자를 comNumber[i]에 담음 for (int i = 0; i < 3; i++) { comNum..
C++ while 문 사용해서 컴퓨터와 가위바위보 하기
·
정리필요
배운 것 요약 : while 문 보완할 내용 : 중복 코드가 많아 보인다 리펙토링을 통해 불필요한 코드를 없애야 겠다. 오늘의 과제 : while 문을 이용하여 컴퓨터와 가위바위보 하기 메모 :과제와 별개로 어떠한 상황에서 2중 for문을 사용해야 하는지 감이 오질 않음, 보완이 필요해 보임 게임 설계 조건 - 컴퓨터와 가위바위보를 하는 게임. - 컴퓨터는 가위, 바위 보를 랜덤하게 낸다 (rand()함수 사용) - 결과에 따라 승, 패, 무승부 출력한다. (if, if else문 사용) - 10턴이 지나면 게임이 종료되게 처리 (while문) - 플레이어는 베팅을 할수 있다.(소지금) - 베팅할 수 있는 금액은 최소단위가 있어야 한다. - 플레이어가 승리할 경우 내가 건 베팅금액의 *2를 얻는다. - ..
C++ if문,if/else문, switch문, pragma region 사용방법 정리
·
정리필요
배운 것 요약 : #pragma region, if, if else, 사칙연산, switch 보완할 내용 : 오늘의 과제 : 과제 1. 학생의 전체 평균에 대한 학점을 출력해라. 과제 2. 계절 출력하기 과제 3. 몬스터 vs 플레이어 #pragma region 코드 블럭을 형성하는 명령어 . 사이 내용 접었다 펼치기 가능 , 가독성이 좋아짐 #include int main() { #pragma region Print //hihi; //전처리기 이고 접었다 펼치기 가능 #pragma endregion } if문 사용하기 #include int main() { int num = 10; if (num >= 10) { std::cout
c++ 자료형 / 비트 연산자 등 정리
·
정리필요
비트연산자 & 두개의 비트가 모두 1일때 1을 반환 #include 0 & 0 >>>>> 0 0 & 1 >>>>> 0 1 & 0 >>>>> 0 1 & 1 >>>>> 1 int main() { int bitNum = 15; int bitNum1 = 20; int bitres = bitNum & bitNum; std::cout >>> 0 0 | 1 >>>>> 1 1 | 0 >>>>> 1 1 | 1 >>>>> 1 shift 연산(비트이동) > 0 | 0 >>>>> 0 0 | 1 >>>>> 1 1 | 0 >>>>> 1 1 | 1 >>>>> 1 shift 연산(비트이동) > 비트의 열을 왼쪽으로 1칸씩 이동할 때마다 정수의 값은 *2 반대로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정수의 값은 /2 상황에 따라 곱셈과 나눗셈은 이녀..